본문 바로가기
정보 세상

보왕삼매론

by 이제부터 부자 2022. 3. 8.
반응형

보왕삼매론

 

안녕하세요~ 이제부터 부자입니다. 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기다리던 에드 고시에 번번이 낙방하고 하니 의욕이 많이 떨어지네요 최종 결과는 내용 부실이라는 판결로 4월이나 돼야 신청을 다시 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합격할 그날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틈틈이 다시 글을 쓰기로 마음먹고 시작하겠습니다. 파이팅~~~~^^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다

병고로써 양약(良藥)을 삼으라

 

아팠을 때 비로소 건강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좀 더 건강 관리를 잘할걸 평소에는 몰랐던 신체 건강한 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리고 병원에 병문안 와주시는 이웃에게 고마움 마음과 인간관계에 대한 생각들 아프기 전에 나의 생활들과 모든 것들이 소중해지는 마음이 생기는 듯합니다. 마치 군대에서 부모하고 떨어져 있을 때 부모의 감사함과 소중함을 알고 제대하면 반드시 효도하며 살리라 다짐하지만 제대하면 똑같아지는 이 모습을 보며 다시 한번 이글 귀를 보며 깨닫습니다.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제 잘난 체하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일어난다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모든지 쉽게 이룬 일보다 어렵게 이룬 일이 소중하고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세상 사는 게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말이 있습니다. 좋은 일이 있으면 안 좋은 일도 있고 이런 삶에 반복이 인생이라고 합니다. 하루 일상에도 낮과 밤이 항상 반복하듯 우리의 인생사도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고생만 하던 사람들은 너무 많은 일들을 겪어와서 웬만한 힘든 일은 흔들리지 않는 심지를 가지게 되지만 반대로 일이 항상 잘 풀려 왔던 사람은 심지가 약해 갑자기 힘든 일을 겪게 되면 굉장히 흔들리게 되는 이치라고 합니다. 위기가 곧 기회다 라는 말처럼 혹시 나에게 닥쳐오는 안 좋은 일이 있다면 너무 빠져 있지 말고 이것이 곧 기회이며 나를 더 성장시켜 주는 밑거름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곧 마음이 넓은 사람이라 합니다. 

 

공부하는데 마음에 장애가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된다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

위에서 말한 내용과 비슷한 것입니다. 모든 게 다 필요한 인생 요소라는 것입니다. 좋은 것과 나쁜 것 장애가 없는 세상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수행하는 데에 마(魔)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한다

모든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비가 온 뒤에 땅이 더 단단하게 되는 이치입니다. 고난과 역경을 겪은 마음은 단단해지며 타인을 이해하고 품을 수 있는 마음의 그릇이 더 넓어지는 게 어른의 마음인 것입니다. 

 

일을 계획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쉽게 풀리면 뜻이 경솔해지기 쉽다

많은 세월을 두고 일을 성취하라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고 과정이 있습니다. 한 계단 한 계단!!! 공든 탑이 무너지랴!!! 인생의 과정도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자가 결국 뜻을 이루고 결실을 맺는 법입니다.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된다

순결로써 사귐을 깊게 하라

인간관계에 대한 말씀입니다. 사람은 유유상종 끼리끼리 만난다고 하는데 사귐에 있어 이용하는 수단으로써가 아닌 순결로써 사귀어야 인간관계를 두텁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남이 내 뜻대로 순동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순종해주면 마음이 교만해진다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 무리를 이루라

조화라는 말이 있습니다. 돌담을 쌓는 데 똑같은 돌은 필요가 없습니다. 돌 모양이 각기 틀리지만 다 맞혀서 쌓아야 돌담이 완성되듯 사회도 그렇고 가정도 그렇습니다. 서로가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맞혀나가는 사이에 모두가 발전되고 좋은 방향의 결과를 이뤄나가는 것입니다. 

 

공덕을 베풀 때는 과보(果報)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불순한 생각이 움튼다

덕 베푼 것을 헌 신처럼 버리라

남에게 호의를 베풀 땐 순수한 마음으로 하라는 것입니다. 하나 줬다고 하나 받기를 바라는 마음이 일반전인 사람의 마음이지만 그러지 말라는 것입니다. 저도 그런 게 밥을 사면 다음에 당연히 얻어먹게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만약 그게 안되면 서운한 마음이 들었던 게 생각이 듭니다.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때도 실망감이 오듯 모두가 그러한 마음이 들 텐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되 결과가 어찌 되었든 집착하지 말고 하나하나 정진해 나간다면 언젠가 목표에 닿을 수 있을 겁니다. 언제나 결과에 집착해 마음이 안 좋아 포기해서 결실을 못 이루는 것입니다.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기기 쉽다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돼라

작은 것에 만족할 줄 아는 지혜가 정말 필요합니다. 사람들이 항상 행복하고 싶고 바라지만 어찌 보면 지금 자신을 보면 충분히 행복한데 기준이 현재 처해 있는 상황보다 너무 높아 자신이 불행하게 보이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앞을 보며 정진하는 것이 인생의 자극이 되어 발전할 수 있지만 때로는 자신을 힘들게 하는 덧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끔 뒤를 보면 나보다 더 힘든 상황에 살아가는 주변 사람들을 볼 때 나는 지금 충분히 행복한 사람이고 여유 있는 생활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겁니다. 

 

억울함을 당할지라도 굳이 변명하려고 하지 말라

 

변명하다 보면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된다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 수행의 문을 삼으라

사필귀정이라는 말은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르게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감추려 해도 감출 수 없는 게 진실입니다. 
이런 것 또한 불교에서는 인과로 오는 마음에 역경이므로 받아들이라는 것입니다. 마치 나무가 꽃을 피우는 과정 속에 겪는 역경들처럼 인생사도 이런 것들로부터 참고 견뎌 이겨내라는 뜻입니다. 
위에 글들이 모두가 힘든 일이 있어도 그것에 있어 집착하지 말고 전화위복으로 삼고 살아간다면 언젠가 인생의 꽃을 피우는 날이 오니 누구에게나 올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로 느껴집니다. 포스팅하면서 마음이 한결 차분해집니다.

 

반응형

댓글